르코르뷔지에

(1887~1965)

모더니즘 건축의 아버지로 현대 건축의 모든 면에서 기초를 다졌다고 보아도 될 정도입니다.  스위스에서 태어난 프랑스를 대표하는 천재 건축가입니다.

그의 다른 수식은 20세기에 가장 영향력 있었던 건축가 입니다.

 

그의 일생

그의 본명은 샤를 에두아르 쟌레 그리 입니다. 1887년 스위서 서북부의 랴쇼드퐁에서 태어난 그는 중산층의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피아노 선생님이었습니다. 어머님의 가르침은 르코르뷔지에를 세계적인 건축가로 발돋움 하는데 초석을 두었습니다. 그것은 "하고자 마음먹은 것은 끝까지 해 내라"였습니다. 그는 어머니의 가르침을 따라 매사에 임했습니다. 한 예로 그가 13세 일때 라쇼드퐁의 미술학교에 응시했었습니다. 과제 작품제작 마감기한으로 3일의 기간이 주어졌습니다만 그는 그 첫날 저녁에 자신의 작품을 제출하였습니다. 미술학교에서 그의 스승은 화가가 되려는 그에게 건축을 하라고 권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17세의 어린나이에 자신의 첫 주택을 설계하게 됩니다. 하지만 르코르뷔지에가 어른이 되었을때는 사람들에게 이 사실을 알리지 않았습니다. 그러한 이유는 그가 어린시절에는 스위스 전통양식을 그대로 답습하여 그가 추구하는 모더니즘과는 정반대인 스위스 전통주택을 설계하였기 때문입니다.  17세 이후 19세 까지 그는 총 7개의 건축물을 설계를 했지만 전부 고전적인 모더니즘과는 정 반대인 고전방식의 건축물 이었기 때문에 유명한 작품들은 없었습니다.

젊은 시절 그는 파리에서 그에게 영감을 준 스승을 만나게 되는게 그사람은 바로 철근 콘크리트(즉 모더니즘의 시작)의 선구자로 불리우는 오귀스트 페레입니다.  르코르뷔지에는 오귀스트 페레에게 최신 재료 즉 철근 콘크리트와 기술, 구조를 배우고 피터 베렌스의 사무실로 들어가 일을 하게 됩니다. 건축사사무실엣 일하면서 그는 근대 건축에서 빼놓을 수없는 거장인 미스 반 데어로에(커튼월로 유명한 사람)과 발터 그로우 피우스를 만나게 됩니다. 그리고 또 그의 건축정신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사건이 있으니 그것은 바로 동방으로의 여행이었습니다. 베를린에서 출발하여 프라하, 빈, 부다페스트, 콘스탄티노플, 아테네, 폼페이 등을 여행하게 됩니다. 여행을 하면서 그는 위대한 고건축물들을 직접 보고 경험을 쌓습니다. 소피아 대성당과 모스트에서는 단순 기하학이 지니고 있는 강렬한 힘을 느꼈고 발칸반도의 민중예술과 토속 건축물의 자연스러움에 감탄하게 됩니다. 이러한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통해 그는 기존에 그가 항상 보아왔던 유럽식 장식 예술을 비판적인 시선으로 바라볼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신의 고향인 스위스로 돌아온 르코르뷔지에는 현대적 기술(철근 콘크리트 공법)을 사용한 이론적인 건축 연구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완성되는 것이 지금 건축을 대표하는 시스템입니다. 돔-이노 시스템으로 불리어지는 이 아이디어는 최소한의 숫자의 얇은 철근 콘크리트 기둥들이 모서리에서 지지하는 단순한 구조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구조는 건축트랜드를 완전히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러한 이유는 기존의 유럽건축물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었습니다. 유럽건축물과 가장 큰 차이는 벽이 필요없다는 것입니다. 그 당시 까지의 유럽건축은 벽으로 하중을 견뎌내었기 때문에 두꺼운 벽이 많이 필요하였고 창문도 엄청나게 작게, 혹은 위아래로 길게 내어야 했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이 있기에 우리는 벽도 창문도 지붕도 바닥도 마음대로 할수 있었습니다.

근대 건축의 5원칙

1. 철근 콘크리트기둥인 필로티로 무게를 지탱하였고 건축 구조의 대부분을 땅에서 들어올려 지표면을 자유롭게 활용할수 있도록 합니다.

2. 건축가가 원하는 대로 설계할 수 있는 구조기능을 갖지 않는 벽체를 두어 자유로운 입면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3. 채광효과가 뛰어난 길다란 "띠 유리창"을 두었습니다.

4. 기중이 있기에 지지벽이 필요 없어 바닥 공간이 방들로 자유롭게 배열된 "열린 평면"을 만듭니다.

5. 건물이 서기 전에 있었던 조경을 대체하기 위해 건물의 옥상에 옥상족경을 만듭니다.

그는 순수주의를 주장하였는데 이러한 것은 시트로앙 주택을 보면 알수 있습니다. 이 이름은 프랑스 자동차 시트로엥의 말장난 으로서, 건축물 또한 자동차 찍어 만들어 내듯이 현대 산업 방식을 채택하여 건축하자는 것이었습니다. 공장 제작 부품을 이용하고 규격화 하면 효율적으로 양질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 이었습니다. 집 또한 자동차 처럼 기능에 충실하고 사용하기 편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건축물을 첨단 기술로 탄생한 자동차와 같은 기계와 같이 생각한 것이었습니다. 그는 그의 명언을 통해 그의 이러한 생각을 잘 드러냅니다. "A house is a machine for living in" 집은 살기위한 하나의 기계이다. 

그는 유럽의 도시를 바꿔놓았습니다. 당시 유럽의 도시들은 수많은 사람들이 공간이 협소하여 좁고 열약한 주거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거리는 너무 더럽고 혼잡하였습니다. 이러한 요인은 바로 다름아닌 산업혁명으로 도시로 인구가 급격히 몰렸기 때문입니다. 좁은 지역으로의 인구는 급증하지만 건물들은 중세의 것들이어서 그는 유럽의 도시를 바꿔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르코르뷔지에의 도시계획은 교통수단으로 서의 자동차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자동차가 인간을 거리의 제약에서 자유롭게 한다는 생각으로 교통체계를 중요히 여기고 주거지역을 멀리 떨어뜨려 공간이 넓은 쾌적한 삶을 꿈꿨습니다. 당시에 유럽의 도시들은 이미 중세와 근대의 건물들로 넘쳐 났기 때문에 이러한 그의 도시계획은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넓은 땅을 지닌 미국은 이러한 르코르뷔지에의 계획안에 맣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우리나라 또한 개발도상국으로서 1970년대이후 만든 한국의 계획도시, 신도시 들은 이러한 르코르뷔지에의 개념을 받아들였습니다. 그리하여 차선을 중심으로 주거지역, 업무지역을 나누었으며 많은 녹지를 두는 것을 원칙으로 도시 계획을 세웠습니다. 이러한 것은 도시 재개발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 단지 역시 이러한 계획안에 영향을 받은것입니다. 우리는 이것을 부정하기 힘들것입니다. 하지만 동전의 양면처럼 이러한 도시의 계획안은 인구가 집중된 곳에서 많은 사람들의 주택부족을 해소하여 주고 쾌적한 도시생활이 가능하도록 하였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문제점들도 야기 시킵니다. 사람보다 자동차가 우선시 되고, 업무지구는 밤에 모두 집에 가느라 도로가 정체 되고 너무나 넓고 넓은 녹지는 도시를 나누게 됩니다. 

르코르뷔지에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그가 지나치게 기능과 기술만을 바라봄으로써 인간과 도시가 가지고 있는 다양성과 불확실성을 무시했다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것은 원래 모더니즘 자체가 받는 비판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르코르뷔지에의 건축은 다시 한번 변화를 가집니다. 1930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르코르뷔지에는 전기와 후기로 나뉩니다. 그러한 이유는 그만큼 그가 같은 사람이 맞는가 싶을 정도로 전혀 다른 건축을 선보입니다. 그가 후기에 설계한 롱샹성당을 보면 알수있습니다. 그동안 만들어 내었던 표준적이고 안정적이고 규격화 되어진 건축이 아닌, 대지의 특별한 조건 아래 형성된 특별한 모양의 건축이었습니다.

 

'건축이야기 > 세계의 건축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의 건축가] 리차드 마이어  (0) 2017.03.19
[세계의 건축가] 모셰 샤프디  (2) 2017.03.09
미스 반 데어로에  (0) 2017.03.06
안도 다다오  (0) 2017.03.06
루이스 칸  (0) 2017.03.06

+ Recent posts